도심 속 쉼터가 되어주고 있는 숲이 사람들의 계속된 발걸음으로 인해 훼손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전문가들은 산림 피해 예방을 위한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1일 전주 건지산에서는 산림욕이나 맨발 걷기를 하는 시민들을 쉽게 찾아볼?수 있었다. 건지산을 자주 찾는다는 김모(30대) 씨는 “편백나무 향도 좋고 가볍게 걷기에 알맞아 매주 이곳을 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람들이 걷고 있는?편백나무 사이?통로 부분의 토양은 답압 현상으로 인해 단단하게 다져져 있었다. 국립산림과학아시아10호 주식 원에 따르면 답압은 인간, 가축, 중장비 등에 가해진 압력으로 토양이 다져지는 현상을 뜻한다.?답압 현상은 토심 30㎝ 이상까지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낙엽층을 소실시키고 토양을 공기와 물의 이동이 어려운 상태로 변화시켜 식물이 자라기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답압 현상이 지속되면 식물의 뿌리가 토양 밖으로 나와 고사하는 경우도 발생할 차량용블랙박스관련주 수 있다. 이날 건지산 편백나무 숲 일부 나무들의 뿌리는 실제 다져진 통로 위로 노출된 상태였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담압 현상이 발생하면?나무들이?회복하는 데?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전 예방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바다이야기PC버전 답압 현상으로 인해 다져진 토양 사이로 나무 뿌리가 드러나 있다. 김문경 기자
실제 전문가는 답압 현상으로 인해 해당 지역 나무들의 상태가 나빠지고 있다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고사하는 개체도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교수는 “당장 고사한다빈치 릴게임 나무는 없지만, 걷기 길이 만들어진 지역의 나무와?다른?지역의 나무 사이에?차이가 발생하고 있다”며 “걷기 길이 있는 곳의 나무들은 잎사귀가?색도 연해지고 그 숫자도 적어졌을 뿐만 아니라 가지의 굵기도 얇아지는 등 상대적으로 활력이 떨어지는 상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런 현상이 몇 년 더 진행된다면 실제로 고사하는 나무가 나올 주식정보1위카페 것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전문가들은 나무의 고사를 막고 도시 숲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나무들의 상태 파악과 복토 작업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종민 교수는 “해당 구간에 수분이 잘 침투되고 공기도 잘 순환될 수 있도록 입자가 굵은 토양으로 복토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며 “복토 작업 이후에는 근처에 따로 제대로 된 걷기 장소를 마련해, 일정한 장소로 걷기나 맨발 걷기 등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박일권 서울대학교 산림공학과 교수는 “일정한 루트로 사람의 활동이 장기간 이루어지면 그 지역은 나무 성장에 방해가 되는 등 피해가 발생할 수는 있다”며 “다져진 땅에 그대로 복토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뿌리 호흡에 방해가 돼 더욱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 나무들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한 후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산림 보호를 위한 예방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전주시 관계자는 “최근 건지산 인근은 무장애 나눔길 공사를 하면서 마사토를 이용해 복토 작업을 일부 진행했다”며 “현재 걷기 길이 조성되어 있는 숲 지역을 전수 조사한 뒤 전문가와 협의를 통해 복토 작업 등을 진행하고, 훼손이 심한 곳은 동선 분리 조치를 하는 등 산림 보호 방안을 고민해 보겠다”고 전했다.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분포로 111, 분포로113(용호동) LG메트로시티아파트
E-Mail: admin@emetro.kr개인정보관리책임자: LG메트로시티아파트 관리소장
Tel: 051)611-8901 Fax: 051)611-8903
Copyright(C) 2010 LG METROCITY All rights reserved.